우리 학과 명예교수님이신 강성학 교수님의 새로운 학술서적 출판 소식을 안내해드립니다.


저서 제목은 <한국의 지정학과 링컨의 리더십: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화와 국가통일의 리더십>입니다


아래는 출판 관련 신문사 인터뷰기사입니다.

동아닷컴 2017.01.19

강성학 “강력하고 민주주의 원칙 지키는 링컨 같은 지도자 필요”


“작금의 한국 정치 상황은 ‘지휘자 없는 오케스트라 연습장’과 같습니다. 미국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처럼 강력하면서도 민주주의의 원칙을 지키는 지도자가 나와야 격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통일의 심포니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

 국제정치학자 강성학 고려대 명예교수(69)가 ‘한국의 지정학과 링컨의 리더십’(고려대 출판문화원)을 최근 냈다. 강 교수는 2011년 영국에서 낸 ‘Koreas Foreign Policy Dilemmas(한국의 외교 딜레마)가 지난해 중국 사회과학원 출판사에서 번역 출간된 것을 비롯해 각종 저서가 일본과 중국, 영어권 국가에서 발간된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2014년 정년퇴임하고 한국지정학연구원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는 그를 17일 서울 종로구의 지정학연구원에서 만났다. 강 교수는 “21세기 들어 지정학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강 교수에 따르면 지정학은 국제정치학이 성립되기 전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유행한 패러다임이었다.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전략적 핵 경쟁 속에서는 의미가 축소됐지만 재래식 군비 경쟁의 귀환, 대륙국가 중국의 해양 진출로 인한 미국과의 긴장 고조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물론 한반도가 그 복판에 있다. 책의 부제도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화와 국가통일의 리더십’이다

 “이전 책 ‘새우와 고래싸움’에서도 말했지만 새우였던 한국이 만약 돌고래가 됐다고 쳐도 범고래와 같은 강대국 앞에서는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오히려 범고래를 만나면 돌고래보다 새우가 살아남을 가능성이 있지요. 

 강 교수는 “대륙 강대국의 완충지대(buffer zone)면서 해양 강대국의 교두보(bridgehead)라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상은 임진왜란 이래 변한 적이 없다”면서 “장기적인 전쟁을 독자 수행하는 능력이 없는 한국은 대외정책에서 기본적으로 겸손해야 한다”고 말했다.



  ‘용()미’ ‘용중’ ‘용일’ ‘용러’와 같은 말은 환상이고 착각에 불과하다는 게 강 교수의 주장이다. “주변국을 바보로 아는 인식이지요. 진지하고 성실한 외교를 추구하면서도 국가의 이익을 얻어낼 수 있는데 과도하게 비타협적인 자세를 취해 무리가 생기기도 합니다.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외교란 없습니다. 

 강 교수는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미국을 단일한 연방국가로 지켜냈으며, 패배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선거 민주주의의 원칙을 지킨 링컨의 리더십이 한국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링컨 대통령은 ‘무장한 예언자’ 같은 이였습니다. 국민에게 자신의 비전을 제시하고 설득해 국민의 생각을 바꾼 ‘변환적 리더십’의 모범이지요.” 강 교수는 앞으로 1년 동안은 매달 심포지엄을 열어 윈스턴 처칠의 리더십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했다


출처: http://news.donga.com/3/all/20170119/82460994/1



문화일보 2017.01.20

“美·中·日 각축 한반도, 링컨 勝戰 리더십 절실”

 

“한반도 위기를 돌파하는 전략에 대해 우리 정치인들이 각자 소리만 요란하게 내지르고 있다. 오케스트라 리허설 때처럼 모든 악기가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데 음악은 안 되고 있다. 지휘 리더십이 없는 탓이다.


국제정치학자인 강성학(사진) 고려대 명예교수는 한국의 대외정책이 삐걱거리고 있는 상황에 대해 이렇게 지적했다. 한국지정학연구원 초대 이사장인 그는 최근 연구서 ‘한국의 지정학과 링컨의 리더십’을 출간했다. 대학에서 30여 년간 강의해 온 그는 오랫동안 세계 평화 연구에 천착해왔다. 그의 저서들은 영국과 일본, 중국 등에 번역돼 국제정치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강 교수에 따르면, 국제 정치와 지리적 요건의 관계를 연구하는 지정학(地政學·geopolitics) 20세기 초반 영·미와 독일 등에서 풍미했으나 이후 지역 패권을 추구한 나치즘의 유산이라는 등의 이유로 힘을 잃었다. 강 교수는 “그러나 한반도에서 지정학은 언제나 유효하다. 대륙 세력의 완충지대(buffer zone)이자 해양강대국의 교두보(bridgehead)이며, 또한 양 세력의 충돌지대(shatter-belt)라는 지정학적 위상이 변한 적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대륙세력으로 존재했던 중국이 해군력을 증강 시키며 해양세력으로서의 패권을 추구하는 이 시점에서 지정학은 더욱 중요해졌다.

강 교수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도 이런 관점에서 본다. 한국이 중국에 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분명히 하지 못하고 유약한 태도를 보여 자승자박의 곤경에 처하게 됐다는 것이다. “외교에서 어떤 것을 얻고 지키려면 또 다른 쪽에서의 희생이 필요하다. 그걸 국민에게 말할 수 있는 정치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다.



북핵을 빌미로 한반도가 패권 세력의 충돌 지대가 되는 위협에 처한 상황에서 한국의 정치 리더십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여기서 강 교수는 미국 대통령이었던 에이브러햄 링컨의 지도력을 끌어온다. “링컨은 미합중국을 분열로부터 회복시켰으며 자유민주주의와 미국 문명을 발전시킬 길을 열었다. 

책의 2부를 구성하는 링컨의 리더십은 윈스턴 처칠, 마하트마 간디, 쑨원(孫文), 넬슨 만델라, 버락 오바마 등 세계의 지도자들에게 정치적 유산으로 계승됐다. 한국의 차기 대통령이 되겠다며 나선 후보군에서도 링컨을 들먹이는 이들이 있다. 이에 대해 강 교수는 “정치인들이 자신의 이미지 구축에 링컨을 활용하려 하지만, 그의 리더십을 제대로 공부한 것 같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링컨 연구로 정평이 높은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의 권유로 링컨 리더십을 공부하며 많은 것을 새롭게 알게 됐다”며 “특히 군사 문제에 대한 혜안으로 남북 전쟁을 승리로 이끈 리더십은 놀라울 정도”라고 했다



링컨은 전시 중 최고 사령관으로서 전쟁이 장기화할 것을 예상해 그에 따른 전략으로 휘하 장군들을 지휘했고, 전시에 유지하기 어려운 문민통제의 원칙으로 국민적 단결을 끌어냈으며 병참 지원도 성공적으로 수행해냈다. 그는 군사문제에 대한 훈련이나 교육을 받은 바 없지만, 스스로 전쟁 역사를 공부해 승리를 이루는 안목을 갖추고 그것을 단호하게 실천했다


“한반도 통일을 지향하는 지도자라면 링컨의 승전 리더십을 모델로 삼을 필요가 있다. 세계 역사의 주사위가 잘못 굴러서 우리 정부가 전쟁을 만날 경우에 반드시 승리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출처: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12001032712050001